세종보 해체보다 시급한 건 ‘금강 준설’이다
– 토사와 자생수목이 만든 물길의 위기, 방치하면 재앙이 온다 –
세종시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금강은 단순한 하천이 아니라, 도시의 심장이다.
그 금강을 가로지르는 세종보는 지난 10여 년간 세종시의 도시미관과 수자원 안정, 시민의 여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해왔다.
그러나 정부의 보 해체 계획에 따라 세종보가 철거될 위기에 놓였다. 문제는 단순히 보 해체 여부가 아니다.
지금 금강이 당면한 더 큰 위기는 토사 퇴적과 자생수목 확산으로 인한 물길 막힘이다. 
■ 토사와 자생수목이 만든 ‘물길 장벽'
최근 금강 세종시 구간 바닥에는 수년간 퇴적된 토사와 자생 버드나무류가 빼곡히 자라 물길을 가로막고 있다.
하천의 중심부가 좁아지고, 수위가 낮아지면 흐름이 약해져 더 많은 토사가 쌓이고, 다시 식물이 번식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이는 단순한 미관 문제를 넘어, 집중호우 시 범람 위험과 수질 악화, 생태계 파괴로 직결된다.
■ 해체보다 시급한 ‘대규모 준설’
금강의 건강성을 회복시키고 재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준설 작업이 시급하다.
세종보 해체 논의는 준설 이후에 해도 늦지 않다.
물길이 이미 막혀가고 있는데 보만 철거하면, 금강은 계절별로 극심한 건천화와 범람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하천으로 전락할 것이다. 
■ 세종보 담수의 가치
세종보 담수는 단순한 ‘물 저장’ 이상의 의미가 있다.
-
도시미관: 수변경관이 호수처럼 펼쳐져 세종시의 품격을 높인다.
-
여가와 관광: 수상레저, 강변축제, 야간 경관조명 등 문화·관광 자산이 된다.
-
생태계 보호: 일정 수위를 유지해 습지와 철새 서식지를 지킨다.
-
수자원 안전판: 가뭄 시 생활·농업·공업용수 확보에 기여한다.
보를 유지하며 수질관리와 준설을 병행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다.
■ 방치하면 재앙, 관리하면 자산
금강을 방치하면 수년 내에 강폭이 줄고, 토사와 수목이 하천을 점령하게 된다.
그 결과, 폭우 시 도심 범람과 건기 시 심각한 건천화라는 양극단의 재해가 반복될 것이다.
그러나 지금 준설과 보 유지, 수질관리 시스템을 강화하면 금강은 세종시의 가장 큰 도시 자산으로 재 도약할 수 있다.
■ 결론 – 해체 논의보다 관리·복원 우선
세종보 해체 논의는 금강 복원과 재해 예방의 ‘본질’에서 벗어난 소모적 논쟁이 될 수 있다.
지금 필요한 건 정치적 결론이 아니라, 현장 실태 조사와 대규모 준설, 체계적 관리다.
세종보와 금강은 세종시민의 삶과 안전, 그리고 도시의 미래를 담고 있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없애는 것’이 아니라 ‘살리는 것’이다.
|